Statistics 5점 척도, 7점 척도… 이걸 100점으로 바꿀 수 있을까? 설문조사에서 자주 마주치는 질문 형식이 있다. “이 서비스에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?” 그리고 그 아래에는 1부터 5 또는 1부터 7까지의 숫자가 줄지어…
Statistics 시간 따라 변하는 효과를 통계로 확인하다 – 반복측정분산분석 하나의 실험 결과를 한 번만 측정하는 것으로는 부족할 때가 많다. 사람의 변화는 시간 속에서 일어나며, 개입의 효과 역시 시간에 따라…
Statistics 과학의 최소 조건 – 재현성 없는 연구는 과학이라 부를 수 없다 어느 날 논문 한 편을 읽는다. 분석 과정은 정교하고, 결과는 흥미롭다. 그런데 이상하게도 따라 할 수가 없다. 동일한 데이터를 얻을…
Statistics 요인인가, 성분인가 – 요인분석과 주성분분석은 무엇이 다른가 수많은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 데이터를 분석하다 보면 각 문항이 말하는 바를 보다 간결한 구조로 요약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. 이럴 때…
Statistics 연구의 신뢰는 참고문헌에서 시작된다 – 인용 양식의 세계 논문을 쓴다는 건 단순히 자기 생각을 쓰는 일이 아니다. 이미 축적된 연구 위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얹는 작업이며, 그 과정에서 누구의…
Statistics 고객의 목소리를 좌표 위에 올리다 – IPA 분석 중요성과 만족, 그 간극에서 전략이 시작된다. 고객 만족 조사는 언제나 질문으로 끝나기 쉽다. 무엇이 만족스러웠는가? 어떤 점이 부족했는가? 하지만 이런…
Statistics 숫자의 언어로 세상을 말하다 – 통계에 관한 명언 10선 1. “모든 것을 셀 수는 있지만, 셀 수 있는 모든 것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” -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이 말은 통계의…
Statistics 변수 간의 시너지 – 분산분석의 상호작용 효과 하루는 이렇게 묻는 학생이 있다. “두 개의 요인이 종속변수에 영향을 준다면, 그냥 각각의 효과만 보면 되는 거 아닌가요?” 표면적으로는 맞는…
Statistics 성별과 재방문은 관련이 있을까? – 교차분석과 카이제곱 검정 데이터 속에서 관계를 찾는 일은 분석의 시작점이자 본질이다. 특히 둘 다 범주형 변수, 다시 말해 분류나 집단으로 표현되는 정보일 때…